일본과 한국의 빈집 문제 발생의 배경일본과 한국 모두 빠른 속도의 고령화와 저출산, 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배경 속에서 ‘빈집 문제’가 본격적으로 사회적 과제로 부상했다. 특히 농촌과 중소도시에서는 청년층의 도시 집중화가 심화하며, 고령화와 동시에 주거 수요의 붕괴가 빈집 증가로 직결되고 있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부터 인구 정체 및 지방 소멸 우려가 가시화되었으며, 1990년대 버블 경제 붕괴 이후 지방의 인구 유출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에 따라 농촌과 중소도시의 빈집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18년 기준 전국 평균 빈집률은 13.6%에 도달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20%를 초과하였다.한국 역시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농촌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청년층의 이탈과 함께 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