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2

일본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 소외’와 전자사기 피해 확산 구조

일본 사회의 디지털 전환 속 고령자의 금융 취약성일본 사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된 국가 중 하나이며, 그에 따른 구조적 문제들이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지지, 고령층의 적응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면서 ‘디지털 금융 소외’라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 불평등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0년대 이후 일본 내 주요 은행과 금융기관은 영업점 통폐합과 디지털화 중심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뱅킹·모바일 금융·QR결제·비대면 송금 등의 서비스가 금융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전환은 고령자에게 금융 이용의 접근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이버 사기, 피싱, 악성 앱 설치, 위장 전화 등을 ..

일본 고령자 소비 중심화에 따른 지역 유통 구조 변화

일본 고령자 소비가 지역 유통 구조를 바꾸기 시작했다일본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된 국가로 평가받는다. 2024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29.1%가 65세 이상 고령층이며, 이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과 소비 영향력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특히 은퇴 후에도 일정한 소득원(연금 등)을 가진 고령자들이 적극적으로 소비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청장년 중심 소비구조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은 단순한 고령자 수의 증가에 그치지 않고, 소매 유통 산업 전반의 구조 재편을 초래하며 일본 지역사회의 경제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고령 소비자는 신체적 제약, 교통 접근성, 생활 편의성, 정보 접근성 등에서 차별화된 소비 특성을 갖는다. 그로 인해 이..